마이크로소프트 베이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크로소프트 베이직은 1975년 폴 앨런과 빌 게이츠가 개발한 알테어 베이직을 시작으로, 1970~80년대 가정용 컴퓨터와 개인용 컴퓨터에 널리 사용된 BASIC 인터프리터 및 컴파일러의 한 종류이다. 알테어 베이직은 이후 다양한 버전으로 발전하여 MS-DOS, 윈도우 등에서 사용되었으며, Visual Basic .NET, Small Basic과 같은 현대적인 버전으로도 이어졌다. 마이크로소프트 베이직은 8비트 컴퓨터와 MSX 컴퓨터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특히 MSX 베이직은 한국의 컴퓨터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다. 6502 프로세서에 이식된 마이크로소프트 베이직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했으며, 6502 BASIC은 키 입력 감지, 라인 크런칭, 동적 문자열 할당 등을 지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이크로소프트 베이직 - 비주얼 베이직
비주얼 베이직은 1991년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출시된 GUI 기반 응용 프로그램 개발에 강점을 가진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윈도우용 응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 조작 프로그램 개발에 주로 사용되었고, 2005년 표준 지원이 중단되었다. - 마이크로소프트 베이직 - 알테어 베이직
알테어 베이직은 빌 게이츠와 폴 앨런이 알테어 8800 컴퓨터를 위해 개발한 BASIC 인터프리터로, 마이크로소프트의 초기 성공에 기여하고 소프트웨어 저작권 논쟁을 촉발했으며 MS-DOS로 전환될 때까지 핵심 사업으로 남았다. - 마이크로소프트의 프로그래밍 언어 - 파워셸
파워셸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작업 자동화 솔루션으로, 명령줄 셸과 스크립트 언어의 기능을 결합하여 윈도우 시스템 관리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NET 프레임워크 기반의 객체 지향적 특징을 갖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자동화 스크립트 작성 및 실행, 시스템 구성 관리 등에 활용된다. - 마이크로소프트의 프로그래밍 언어 - VB스크립트
VB스크립트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스크립트 언어로,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클라이언트 스크립트 언어 및 액티브 서버 페이지의 표준 언어로 사용되었으나, 윈도우 클라이언트 지원 중단 발표로 향후 윈도우 릴리스에서 제거될 예정이다. - 베이직 프로그래밍 언어 계열 - VB스크립트
VB스크립트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스크립트 언어로,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클라이언트 스크립트 언어 및 액티브 서버 페이지의 표준 언어로 사용되었으나, 윈도우 클라이언트 지원 중단 발표로 향후 윈도우 릴리스에서 제거될 예정이다. - 베이직 프로그래밍 언어 계열 - 비주얼 베이직
비주얼 베이직은 1991년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출시된 GUI 기반 응용 프로그램 개발에 강점을 가진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윈도우용 응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 조작 프로그램 개발에 주로 사용되었고, 2005년 표준 지원이 중단되었다.
마이크로소프트 베이직 | |
---|---|
기본 정보 | |
이름 | Microsoft BASIC 마이크로소프트 베이직 |
개발자 | 마이크로소프트 |
최초 출시 | 1975년 (cf. Altair BASIC) |
최신 버전 | cf. Visual Basic .NET |
최신 버전 출시일 | 2018년 |
종류 | BASIC인터프리터, 컴파일러 |
기술 정보 | |
프로그래밍 언어 | BASIC |
기타 | |
후신 | Visual Basic, Visual Basic .NET |
2. 마이크로소프트 베이직의 역사
마이크로소프트의 기반을 세운 제품인 마이크로소프트 베이직은 1975년 아마추어를 위한 마이크로컴퓨터인 MITS 알테어 8800용 알테어 베이직으로 처음 등장했다.
폴 앨런과 빌 게이츠(그리고 게이츠의 동급생인 몬티 데이비도프)가 미니컴퓨터 PDP-10을 사용하여 개발했다. 종이테이프 형태로 판매되었으며, 초기 버전은 4KiB의 메모리를 사용했다. 확장된 8KB 버전은 BASIC-80(8080/85와 Z80), BASIC-68(MC6800), BASIC-69(MC6809), 6502-BASIC, 그리고 16비트의 BASIC-86(8086/8088)와 같이 다양한 플랫폼으로 이식되었다.
알테어 베이직의 성공으로, 마이크로소프트 베이직은 수익성 있는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사업의 기반이 되었다. 1970년대부터 1980년대에 걸쳐 다양한 홈 컴퓨터와 퍼스널 컴퓨터(PC)로 이식 및 확장되었다. 원래의 알테어 베이직과는 달리, 많은 PC용 베이직은 ROM-BASIC 형태로 ROM에 저장되어 기기를 켜면 "READY."(또는 "Ok") 등의 프롬프트를 표시하고 즉시 베이직이 시작되었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Microsoft BASIC과 그 파생 제품은 기초적인 운영 체제(OS) 역할을 담당했고(스탠드얼론 베이직), 그러한 기종은 "베이직 턴키 모델" 등으로 불렸다.
2. 1. 알테어 베이직과 초기 마이크로컴퓨터 (1975-1980)
1975년, 마이크로소프트를 설립한 폴 앨런과 빌 게이츠는 MITS 알테어 8800용 알테어 베이직 인터프리터를 개발했다. 이들은 PDP-10 미니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자체 개발한 Intel 8080 에뮬레이터를 사용하여 개발했다.[1] MS 방언은 게이츠가 고등학교 시절 사용했던 PDP-11의 디지털 장비 코퍼레이션의 BASIC-PLUS를 기반으로 한다.[2] 초기 버전은 정수 연산만 지원했지만, 몬테 데이비도프가 부동 소수점 연산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신시켜, 나중에 마이크로소프트 바이너리 형식이 된 라이브러리를 작성했다.알테어 베이직은 종이테이프로 제공되었으며, 원래 버전은 4KB의 메모리를 사용했다. 사용 가능한 함수와 명령문은 다음과 같다.
```
LIST, NEW, PRINT, INPUT, IF...THEN, FOR...NEXT, SQR, RND, SIN, LET, USR, DATA, READ, REM, CLEAR, STOP, TAB, RESTORE, ABS, END, INT, RETURN, STEP, GOTO, 그리고 GOSUB
```
4KB 베이직에는 문자열 변수가 없었고, 단정밀도 32비트 부동 소수점이 유일하게 지원되는 숫자 형식이였다. 변수 이름은 한 글자(A–Z) 또는 한 글자와 한 자릿수(0–9)로 구성되어 최대 286개의 숫자 변수를 허용했다.
더 많은 메모리가 있는 기계의 경우, 8KB 버전은 31개의 추가 명령문과 문자열 변수 및 MID$와 같은 관련 연산과 문자열 연결을 지원했다. 문자열 변수는 $ 접미사로 표시되었으며, 이는 이후 버전에서도 유지되었다. 나중에 마이크로소프트는 12K 확장 베이직을 출시했는데, 여기에는 배정밀도 64비트 변수, `IF`...`THEN`...`ELSE` 구조, 사용자 정의 함수, 더욱 고급 프로그램 편집 명령어, 그리고 오류 번호 대신 설명적인 오류 메시지가 포함되었다. 숫자 변수는 이제 세 가지 기본 유형을 가졌다. %는 16비트 정수, #은 64비트 배정밀도, !는 32비트 단정밀도를 나타냈지만, 이는 기본 형식이었으므로 !는 프로그램에서 거의 볼 수 없다.
확장된 8KB 버전은 그 후 BASIC-80(8080/85, Z80)으로 일반화되었고, BASIC-68(6800), BASIC-69(6809) 및 6502-BASIC으로 이식되었다. 6502는 다소 밀도가 낮은 어셈블러 코드를 가지고 있었고, 단정밀도 버전의 경우 8KB 미만으로, 원래 32비트 버전 대신 중간 40비트 부동 소수점 형식을 사용하는 버전의 경우 9KB로 크기가 확장되었다. 이 새로운 40비트 형식은 당시 대부분의 6502 기반 기계에서 사용되었기 때문에 가장 일반적인 형식이 되었다. 또한 16비트 BASIC-86(8086/88)으로 이식되었다.
BASIC-80의 최종 주요 릴리스는 1981년에 출시된 버전 5.x였으며, 40자 변수 이름, `WHILE`...`WEND` 루프, 동적 문자열 할당 및 기타 여러 기능을 지원했다. BASIC 5.x는 프로그램 줄을 축소하는 기능을 제거했다.
핵심 명령어 집합과 구문은 모든 마이크로소프트 베이직 구현에서 동일하며,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관련 기능이나 배정밀도 숫자(일부 구현에서는 지원되지 않음)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프로그램은 어떤 버전에서도 실행할 수 있다.
알테어 베이직의 성공 이후, Microsoft BASIC은 수익성 있는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사업의 기반이 된다. 1970년대부터(특히) 1980년대에 걸쳐 다양한 홈 컴퓨터와 퍼스널 컴퓨터(PC)로 이식되고 확장되었다. 원래의 알테어 베이직과는 달리, 많은 PC용 베이직은 ROM-BASIC 형태로 ROM에 저장되어 기기를 켜면 "READY."(또는 "Ok") 등의 프롬프트를 표시하고 즉시 베이직이 시작되었다. 즉, Microsoft BASIC과 그 파생 제품은 기초적인 운영 체제(OS) 역할을 담당했고(스탠드얼론 베이직), 그러한 기종은 "베이직 턴키 모델" 등으로 불렸다.
2. 2. 가정용 컴퓨터 라이선스 (1980-1990)
알테어 베이직의 초기 성공 이후, 마이크로소프트 베이직은 수익성 높은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사업의 기반이 되었다. 1970년대와 특히 1980년대의 수많은 가정용 컴퓨터 및 기타 개인용 컴퓨터에 이식되었고 그 과정에서 확장되었다.[1] 원래의 알테어 베이직과는 달리, 대부분의 가정용 컴퓨터 베이직은 ROM에 상주하며, 따라서 전원을 켜면 특징적인 "'''READY'''" 프롬프트 형태로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었다. 따라서 마이크로소프트 및 기타 베이직 변형은 많은 가정용 컴퓨터의 기본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중요하고 눈에 띄는 부분을 구성하였다.1981년까지 마이크로소프트 베이직은 매우 인기가 많아서 이미 베이직 라이선스를 보유한 회사들조차도 해당 언어의 라이선스를 취득했다. 예를 들어, IBM은 자사의 개인용 컴퓨터를 위해, 아타리는 아타리 마이크로소프트 베이직과 자체 아타리 베이직을 모두 판매했다.[3] IBM의 돈 에스트리지는 "마이크로소프트 베이직은 전 세계적으로 수십만 명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이를 반박하겠습니까?"라고 말했다.[4] 마이크로소프트는 서로 경쟁하는 회사들에게도 유사한 버전을 라이선스했다. 예를 들어, IBM 어드밴스드 베이직(BASICA)을 IBM에 라이선스한 후, 마이크로소프트는 호환되는 GW-BASIC을 PC 복제품 제조업체에 라이선스하고 소매 고객에게도 판매했다.[5] 마찬가지로, 회사는 애플소프트와 호환되는 베이직을 VTech에 라이선스하여 레이저 128 클론에 사용했다.[6]
2. 3. 현대적 발전 (1990-현재)
1980년대 후반, 마이크로소프트는 베이직 컴파일러인 BASCOM과 QuickBASIC을 출시하여 베이직 언어의 기능을 확장했다.[1] 1991년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환경에 최적화된 비주얼 베이직을 출시하여 윈도우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었다.[1] 비주얼 베이직은 이후 비주얼 베이직 .NET으로 발전하여 C++, C#과 같은 현대적인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능을 통합하고 웹, 윈도우, 콘솔 및 서버 기반 응용 프로그램 개발을 지원한다.2008년에는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인 Small Basic이 출시되었다.[11] 이 언어는 단 14개의 키워드만을 사용하여,[12] 초보자도 쉽게 프로그래밍을 배울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Small Basic은 학생들에게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기초를 가르치고, Visual Studio Express를 통해 VB.NET, Visual C#, Visual C++과 같은 고급 언어로 넘어갈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19]
현재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나 DOS에는 마이크로소프트 베이직이 기본 탑재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이전 버전은 인터넷에서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다.
3. 주요 버전 및 파생 제품
마이크로소프트는 다양한 플랫폼과 환경에 맞춰 베이직의 여러 버전을 개발 및 판매했으며, 다른 회사들은 마이크로소프트 베이직을 기반으로 자체적인 기능을 추가한 파생 제품을 만들었다.
마이크로소프트 베이직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걸쳐 수많은 가정용 컴퓨터와 개인용 컴퓨터에 이식되었고, 그 과정에서 확장되었다. 원래의 앨테어 베이직과는 달리, 대부분의 가정용 컴퓨터 베이직은 ROM에 상주하여 전원을 켜면 즉시 사용할 수 있는 "READY" 프롬프트 형태로 제공되었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마이크로소프트 베이직과 그 변형들은 많은 가정용 컴퓨터의 기본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중요하고 눈에 띄는 부분을 구성하였다.
1981년까지 마이크로소프트 베이직은 매우 인기가 높아서 이미 베이직 라이선스를 보유한 회사들조차도 해당 언어의 라이선스를 취득했다. IBM은 자사의 개인용 컴퓨터를 위해 마이크로소프트 베이직 라이선스를 취득했고, 아타리는 아타리 마이크로소프트 베이직과 자체 아타리 베이직을 모두 판매했다.[3] 마이크로소프트는 서로 경쟁하는 회사들에게도 유사한 버전을 라이선스했다. 예를 들어, BASICA를 IBM에 라이선스한 후, 호환되는 GW-BASIC을 PC 복제품 제조업체에 라이선스하고 소매 고객에게도 판매했다.[5]
마이크로소프트 베이직을 기반으로 기업 고유의 기능을 추가하여 개조 및 개량된 파생 제품들이 많이 등장했다.
3. 1. 마이크로소프트 출시 버전
마이크로소프트는 다양한 베이직 인터프리터와 컴파일러를 출시했다.인터프리터 계열
- 앨테어 베이직: 마이크로소프트의 첫 베이직. PDP-10 미니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자체 개발한 Intel 8080 에뮬레이터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1]
- 아미가베이직
- 애플소프트 베이직
- 아타리 마이크로소프트 베이직
- IBM BASICA
- 컬러 베이직
- 코모도어 베이직
- 익스탠디드 컬러 베이직
- IBM 카세트 베이직
- 갤럭시아 베이직
- GW-BASIC
- 마이크로소프트 레벨 III 베이직
- MBASIC
- MS 베이직 포 매킨토시
- MSX 베이직
- N88-BASIC
- N82-BASIC
- 큐베이직
- TRS-80 레벨 II BASIC
- 워드베이직
- HP2640
- 프리베이직
컴파일러 계열
- 퀵베이직
- 비주얼 베이직
- Microsoft BASIC Compiler (BASCOM)
- Microsoft BASIC 컴파일러 6.0
- Microsoft BASIC PDS 7.x
- Microsoft Visual Basic with Professional Toolkit
- Microsoft Visual Basic for DOS Professional Edition
전문가용초기 DOS용은 인터프리터와 컴파일러가 별도의 제품으로 판매된 후, QuickBASIC에 의해 통합되었고, 그 후 전문가용이 분리되었다. Microsoft Visual Basic에서는 Standard/Professional 버전의 형태로 다시 통합되었다.
한때 Macintosh용으로도 인터프리터와 QuickBASIC이 출시되었다.
- BASIC-80: 8비트(8080/85와 Z80) 버전
- BASIC-86: 16비트(8086/8088) 버전. DOS용 최종 버전은 V5.28(1983).
- GW-BASIC: IBM이 PC DOS에 번들로 제공한 BASICA의 마이크로소프트 버전. IBM PC의 ROM BASIC 없이도 동작하며, CGA와 EGA 그래픽을 지원한다. 최종 버전은 V3.23(1988). VGA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DOS/V 기종에서는 그래픽을 사용할 수 없다.
- QBasic: MS-DOS 5 이후에 번들로 제공되었다. QuickBASIC에서 컴파일 및 링크 등의 기능을 제외한 것.
- Microsoft BASIC Compiler (BASCOM): CP/M-80 및 MS-DOS용으로 판매되었으며, DOS용 최종 버전은 5.36(1984)이다.
- QuickBASIC (1985): BASCOM의 후속으로, 4.5가 최종 버전이며, 이후 Visual Basic으로 이전했다.
- Microsoft Visual Basic (1991): 먼저 Windows 3.0용이 출시된 후, DOS용 최종 버전이 출시되었다.
- Microsoft BASIC 컴파일러 6.0 (1988) : QuickBASIC 4.0에서 파생되었다. MS-DOS 및 OS/2 모두 지원하며 이후 Visual Basic Professional 버전의 선구자이다.
- Microsoft BASIC PDS 7.x
- Microsoft Visual Basic with Professional Toolkit
- Microsoft Visual Basic for DOS Professional Edition : DOS 버전의 전문가용 최종 버전
3. 2. 주요 파생 제품
제품명 | 적용 기종 |
---|---|
알테어 베이직 | MITS 알테어 8800 및 기타 S-100 컴퓨터 |
아미가 베이직 | 코모도어 아미가 시리즈 |
애플소프트 베이직 | 애플 II 시리즈 |
아타리 마이크로소프트 베이직 I 및 II | 아타리 8비트 컴퓨터 |
BASICA ("BASIC Advanced") | IBM PC DOS 및 IBM PC |
컬러 베이직 | TRS-80 컬러 컴퓨터 |
코모도어 베이직 | 코모도어 64를 포함한 코모도어 8비트 시리즈 |
Extended Color BASIC | TRS-80 컬러 컴퓨터 및 Dragon 32/64 |
F-BASIC | 후지쯔 FM 시리즈 |
Hu-BASIC | 샤프 X1 시리즈/MZ 시리즈 |
IBM 카세트 베이직 | 초기 IBM PC의 ROM |
MSX 베이직 | MSX 표준 홈 컴퓨터 |
N88-BASIC | NEC PC-8800 시리즈 |
TRS-80 레벨 II 베이직 | 탠디/라디오셱 TRS-80 |
워드베이직 | 마이크로소프트 워드의 매크로 언어, VBA의 전신 |
4. 기술적 특징 (6502 BASIC 기준)
6502 BASIC은 1976년 여름 마이크로소프트가 6502 프로세서용으로 개발한 베이직 버전이다.[9] BASIC-80의 8KB 버전을 대부분 직접 이식한 것으로, 메모리 크기 및 부동 소수점 연산 함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선택할 수 있었다 (활성화하면 메모리가 135바이트 더 사용됨).[9]
6502 BASIC을 가장 먼저 사용한 기기는 1977년 오하이오 사이언티픽 Model 500과 KIM-1이다.[9] 6502 BASIC에는 사용자 정의 함수와 설명적인 오류 메시지와 같은 확장 BASIC의 특정 기능이 포함되었지만, 배정밀도 변수 및 `PRINT USING` 문과 같은 다른 기능은 생략되었다.[9] 마이크로소프트는 배정밀도 변수가 없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BASIC-80의 32비트 부동 소수점 대신 40비트 부동 소수점 지원을 포함했으며, 문자열 할당은 동적이었다 (BASIC-80과 같이 문자열 공간을 예약할 필요가 없었다).[9] 그러나 공급업체는 약간 더 작은 메모리 공간을 위해 32비트 부동 소수점을 사용하는 BASIC을 요청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Atari 8비트용 Disk BASIC은 40비트가 아닌 32비트 부동 소수점을 사용했다.
9KB 버전의 6502 BASIC은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제공했다.
4. 1. 주요 기능 (9KB 버전 기준)
- 키 입력을 감지하는 `GET` 문을 지원한다.[9]
- 라인 크런칭을 지원하여, 프로그램 라인에서 줄 번호와 문장 사이를 제외하고는 공백이 필요하지 않다.[9]
- 문자열, 단정밀도 부동 소수점, 16비트 부호 있는 정수 변수 유형을 지원한다. 배열에서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지만, 모든 계산은 부동 소수점으로 수행되므로 16비트 정수는 부동 소수점보다 유용하지 않고 느리다.[9]
- 긴 변수 이름을 지원하지만 처음 두 문자만 유효하다.[9]
- 동적 문자열 할당을 지원한다.[9]
4. 2. 공급업체별 확장 기능 (예: 코모도어 베이직)
코모도어 베이직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었다. 이러한 기능들은 1983년 이후에 구현된 6502 Basic에서 주로 발견된다.- 디스크 관련 명령어:
명령어 | 설명 |
---|---|
`DIRECTORY` | 디스크 내용 표시 |
`DSAVE` | 파일 저장 |
`DLOAD` | 파일 불러오기 |
`BACKUP` | 디스크 백업 |
`HEADER` | 디스크 포맷 |
`SCRATCH` | 파일 삭제 |
`COLLECT` | 디스크 조각 모음 |
`DVERIFY` | 파일 검증 |
`COPY` | 파일 복사 |
`DELETE` | 파일 삭제 |
`RENAME` | 파일 이름 변경 |
- 그래픽 관련 명령어:
명령어 | 설명 |
---|---|
`CIRCLE` | 원 그리기 |
`DRAW` | 선 그리기 |
`BOX` | 사각형 그리기 |
`COLOR` | 배경, 테두리 등의 색상 설정 |
`PAINT` | 도형 채우기 |
`SCALE` | 좌표계 크기 조정 |
- 그래픽 블록 복사 및 논리 연산: `SSHAPE` 및 `GSHAPE`와 함께 `OR`, `AND`, `XOR` 등의 연산자를 사용하여 기존 그래픽 화면과의 그래픽 블록 복사 및 논리 연산을 수행한다.
- 스프라이트: C128에서는 스프라이트 정의, 표시, 애니메이션 및 이진 파일 저장을 위한 명령어가 제공되었다.
- 사운드 및 음악 관련 명령어:
명령어 | 설명 |
---|---|
`VOL` | 볼륨 조절 |
`SOUND` | 소리 생성 |
`ENVELOPE` | ADSR (Attack, Decay, Sustain, Release) 엔벨로프 설정 |
`FILTER` | SID (Sound Interface Device) 필터 프로그래밍 (C128) |
`PLAY` | 음악 연주 |
`TEMPO` | 음악 템포 설정 |
- 구조적 프로그래밍: `IF`–`THEN`–`ELSE`, `DO`–`LOOP`–`WHILE`/`UNTIL`–`EXIT` 등의 구조를 통해 코드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였다.
- 확장된 입출력 명령어: `JOY` (조이스틱 입력), 기능 키 등 특수 기능에 대한 입출력 명령어가 추가되었다.
- 디버깅 명령어:
명령어 | 설명 |
---|---|
`STOP` | 프로그램 실행 중단 |
`CONT` | 중단된 프로그램 실행 재개 |
`TRON` | 명령어 추적 모드 활성화 |
`TROFF` | 명령어 추적 모드 비활성화 |
`RESUME` | 오류 발생 후 실행 재개 |
- 확장된 문자 화면 처리: `WINDOW` 명령어를 사용하여 화면 영역을 분할하고 관리할 수 있다.
- 프로그램 개발 지원:
명령어 | 설명 |
---|---|
`RENUMBER` | 프로그램 줄 번호 재정렬 |
`NEW` | 프로그램 초기화 |
`MONITOR` | 머신 코드 모니터 실행 |
`RREG` | CPU 레지스터 값 표시 및 변경 (C128) |
4. 3. 한계
마이크로소프트 6502 베이직은 디스크와 프린터 출력에 대한 표준화된 명령 집합이 부족했다.[9] 이 때문에 각 공급업체가 자체적으로 이러한 명령을 추가해야 했고, 그 결과 구현 방식에 따라 큰 차이가 발생했다.[9]참조
[1]
서적
How to be a billionaire: proven strategies from the titans of wealth
John Wiley and Sons
1999
[2]
서적
Gates
https://books.google[...]
Doubleday
1993
[3]
잡지
Basic Bonanza
https://www.atarimag[...]
2019-08-04
[4]
뉴스
IBM's Estridge
https://archive.org/[...]
2016-03-19
[5]
뉴스
PC Tutor
https://books.google[...]
2015-01-18
[6]
뉴스
Laser 128 / An Affordable Compatible
https://archive.org/[...]
2014-06-29
[7]
학술지
NCR Mini, Micro Among Debuts Made on NRMA Convention Floor
https://books.google[...]
2014-06-04
[8]
문서
Microsoft BASIC Compiler 1980
http://www.bitsavers[...]
[9]
웹사이트
Bill Gates' Personal Easter Eggs in 8 Bit BASIC
http://www.pagetable[...]
2008-09-30
[10]
문서
MICROSOFT Software Catalog
http://archive.compu[...]
Computer History Museum
1980
[11]
블로그
Hello World
http://blogs.msdn.co[...]
[12]
블로그
What are the 14 keywords of Small Basic?
http://blogs.msdn.co[...]
[13]
블로그
Small Basic 1.0 is here!
http://blogs.msdn.co[...]
[14]
웹사이트
Small Basic Curriculum
http://social.techne[...]
[15]
웹사이트
Small Basic Getting Started Guide
http://social.techne[...]
[16]
웹사이트
Small Basic E-Books
http://social.techne[...]
[17]
블로그
Small Basic -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 Testimonials
http://blogs.msdn.co[...]
[18]
블로그
Graduating from Small Basic
http://blogs.msdn.co[...]
[19]
문서
Sources differ in regard to the first NCR data entry terminal integrating support for the FAT file system.
[20]
웹사이트
VB .NET プログラミングリファレンス - はしがき
https://learn.micro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